본문 바로가기

책읽는 타이밍/글 모음

홍동마을 이야기



늘 뒤에 있었음을 고백한다. 고백이라고 해 봤자 들을 사람이 있을까마는...

말해야 할 때 '신중'이란 이름의 껍데기를 쓰고 침묵했다. 행동해야 할 때 '아직 이르다'며 가만히 있었다. 남들이 문제제기를 하고, 몸을 일으켜 싸운 댓가에 겨우 한 숟가락을 얹어 퍼먹는 일이 전부였다. 

그러면서 불평은 많았다. 가끔 지하철에서 마주치는 술취한 사람들처럼 버럭버럭 화만 냈다. 이 놈은 빨리 가서, 저 놈은 천천히 가서, 그 놈은 나란히 가서 마음에 안들었다. 운전을 할 때면 끼어들기 하는 놈, 깜박이 안 켜고 들어오는 놈, 쓸데없이 경적을 울려대는 놈들을 향해 차 안에서 고래고래 욕을 했다. 아무도 듣는 사람은 없었다.

휴가 중에 <홍동마을 이야기>를 앞부분만 조금 읽었다. 아주 조금만 읽었을 뿐인데 부끄러웠다. 대한민국 농업 현실을 개탄하고 마는 게 아니라 그들은 유기농 쌀의 재배만이 한국농업의 대안이라고 생각하고 꾸준히 기반을 만들어왔다. 그 결과 홍동면 전체 쌀농가의 70%가 유기농쌀 재배로 전환됐다고 한다.(2006년에 쓴 글이다) 그렇게 하는데 30년이 걸렸단다. 

부모들은 내 아이가 다니는 학교의 문제점을 보고는 그냥 선생님을, 정부를 욕하고 마는 게 아니라 실제 학교 운영위원으로 참여해 바꿔나갔다. 학교에 제초제를 치지 않자고 건의하면서 직접 풀을 뽑았고, 급식은 친환경 유기농쌀로 품목을 바꿨다. 문제가 생기면 당사자들을 만나고 설득하고 이뤄나갔다. "아이 둘을 데리고 오랫동안 학교에 쫓아다녔어요. 내 청춘을 다 바쳤어요. 제 젊음을 다 보낸 거예요."

10~20년, 아니 50년이 걸려서라도 그렇게 하나씩 내 주변부터 바꿔나가는 사람들이 있다. 반면, 늘 세상과 사회에 불만이 가득차 있으면서도 정작 샤워장에서 오줌 누는 놈을 목격하고도 한 마디도 못했던 것이 나였다. 그럴 때면 자꾸만 "왜 나는 조그만 일에만 분개하는가"라는 김수영의 시가 떠올랐다. "오십 원짜리 갈비가 기름덩어리만 나왔다고 분개"한다는 시구와 내 모습이 자꾸만 겹쳐지는 거다.

오쿠다 히데오의 <남쪽으로 튀어>에는 이런 구절이 나온다.

"오늘의 농성 소동은 틀림없이 큰 뉴스가 되었을 것이다. 아버지는 국민의 눈에 어떻게 비쳤을까. 미움까지야 사지 않겠지만 동정도 받지 못했을 것이다. 지로는 어디까지나 냉담한 시선으로 바라보았다. 경찰과 기업에 창끝을 들이댄 사람을 통쾌하다며 재미있어 하면서도, 그것을 막상 내 일처럼 생각해 줄 사람은 없다. 텔레비전을 지켜 본 어른들은 단 한 번도 싸운 일이 없고 앞으로도 싸울 마음이 없는 사람들이다. 대항하고 투쟁하는 사람을 안전한 장소에서 구경하고 그럴싸한 얼굴로 논평할 뿐이다. 그리고 마지막에는 냉소를 던지리라. 그것이 바로 아버지를 제외한 대대수의 어른들이었다."

세상의 많은 사람들이 그렇지만, 특히 언론계에 있는 사람들은 본인이 뭔가를 사회를 바꿔나가고 있다고 착각한다. 그들은 오버스럽게 잘난척하며 역사를 기록하고, 정의를 정의내리고, 진실을 보여준다고 얘기하지만 내가 볼 땐 자기만족에 불과하다. 거창하고 준엄하게 지사처럼 떠들지만, 사실 따뜻한 아랫목에 앉아 호의호식하면서 호통치는 건, 약간의 '스킬'만 익힌다면 누구나 할 수 있다. 그들의 정의와 호통도 자리를 깔아준 사람들의 '호의' 안에서만 메아리친다. 그들의 왜 그런 호의를 베풀었는지에 대해 별로 생각하지도, 말하지도 않는다.

이영미 평론가는 언젠가 이런 말을 했다. 

"전문 직종을 가진 사람으로 감히 말하건대, ‘환자를 위하여’나 ‘생명 존중’ 같은 하나마나한 이야기를 자주 소리 높여 외치는 인간은, 사기꾼이거나 실력이 없을 가능성이 높다."

진짜 역사를 써 나가는 사람들은 그들이 아니다. 그들의 말과 글은 단 한 세대, 10년, 불과 하루도 지나지 않아 흩어진다. 반면 홍동마을 사람들이 만들어낸 마을과 학교, 농업과 시스템은 사람들 속에 남는다. 그들이 진짜 역사를 써 나가는 사람들이다. 그들이 남긴 기록이야말로 오래오래 읽힐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