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사 모음/누런돼지

“사회적 약자들 배려하려는 ‘중민’ 중심으로 제2의 근대화 이뤄야”

글 황경상·사진 김기남 기자 yellowpig@kyunghyang.com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201312003325&code=960201

ㆍ한상진 서울대 명예교수 ‘중민사회이론연구재단’ 창립

왜 촉망받는 의사의 길을 포기하고 어두운 밤 컴퓨터 앞에 앉아 백신 만드는 일을 시작했을까. 안철수 서울대 융합과학기술대학원장은 여러 차례 그 이유를 ‘사회에 대한 부채의식이 있었기 때문’이라고 답했다. 그 사회문화적 배경은 무엇일까.

한상진 서울대 명예교수(67·사진)는 안 원장 가치관이 자신의 ‘중민 이론’과도 일맥상통한다고 본다. 한 교수는 1980년대부터 민주화운동의 새로운 주체세력으로 부상한 집단을 분석하기 위해 ‘중민(中民)’이라는 개념을 사용했다. “중민은 생활수준이 중류지만 자신의 이익 극대화보다는 사회적 약자들과의 공존을 위해 행동하면서 정치적 권위주의에 비판적인 집단입니다. 가장 중요한 특징은 민중에 대한 부채의식을 느낀다는 점이죠. 1980년대 학생들도 그랬고 그런 가치관으로 성장한 현재 30~40대도 마찬가집니다.”

 
지난 30일 ‘중민사회이론연구재단’ 창립 기념식을 개최한 한 교수를 서울 봉천동 재단 사무실에서 만났다. 어떻게 보면 ‘중민’ 개념은 지난해 불거진 ‘강남좌파’와 이미지가 겹친다. 한 교수는 두 집단이 “비슷하다”고 말했다. “강남좌파라는 용어를 만든 것 자체가 사람들을 ‘좌파’라는 부정적 이미지로 낙인찍고 편가르는 한국사회의 고질병입니다. 그들이 말하는 ‘좌파’라는 게 약자를 배려한다는 중산층 이상 사람들을 지칭한다면 오히려 ‘노블리스 오블리주’라고도 볼 수 있지 않습니까.”

한 교수는 “중간층이 두꺼워야 양극화 해소의 가능성이 커지고 사회가 유지될 수 있다”는 측면에서 중민이론의 연구가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무엇보다 핵심적인 것은 이 집단이 1980년대 정체상황을 극복하려 한 것처럼 “막힌 소통을 뚫으려는 집단”이라는 점이다. 그는 이러한 ‘탈인습적 가치관’이 현재 트위터 등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를 이용한 소통으로도 이어지고 있다고 분석한다. 한 교수는 ‘중민’들을 사회변동의 주체로 내세우면서 이들이 나아갈 방향으로 ‘제2근대화’라는 틀을 내놓는다.

“근대화는 의도치 않게 미증유의 위험사회, 자기파괴적 경향을 만들어냈습니다. 87년 체제 종식이라는 것은 협소한 테마이고, 우리 삶을 위협하는 다양한 위험들을 어떻게 극복해나가느냐를 모색하는 것이 절실합니다. 그 밑그림이 바로 ‘제2근대화’입니다.”

위험은 크게 생태파괴와 핵위험부터 생활 속 빈부격차와 대형사고, 가정해체 등을 아우른다. 대체로 “정부나 기업, 사회가 문제해결 과정에서 내리는 중요한 결정이 의도했건 아니건 야기하는 사회분열적·파괴적 현상들”을 가리킨다. 2008년 미국산 쇠고기 수입반대로 일어난 촛불집회나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반대 목소리 등은 시민이 정부 결정이 가져오는 삶의 위협에 민감하다는 것을 단적으로 보여준다는 설명이다.

“과거에는 정부나 전문가가 어떤 것이 위험이라는 것을 규정할 수 있었습니다. 현대사회에서는 각 생활영역에서 사람들이 느끼는 불만·긴장·위험요소를 어떤 선각자가 내다볼 수가 없습니다. 촛불집회도 시민들이 위험을 인지한 것이죠. 그들의 주장을 궤변이라거나 악성 루머 탓이라고 하는 것은 시민들을 깔보는 행위입니다.”

결국 한 교수가 생각하는 ‘제2근대화’라는 것은 “다양한 목소리가 나올 수 있도록 소통회로를 열고, 그 안에서 스스로 쟁점이 부상하는 열린사회를 만들어가는 것”이며 이를 통해 ‘생활정치 거버넌스(협치)’를 구축해가는 과정이다. 이를 위해 한 교수는 제도정치의 발전도 병행돼야 한다면서 “모바일 투표처럼 정당이 시민사회 요구를 대변·흡수하는 시도는 긍정적”이라고 평가했다. 반면 한나라당 비상대책위원회 같은 경우는 “과정보다 결과만을 중시하면서 상의하달식으로 필요한 것을 관철시키겠다는 것으로 보인다”며 “5공 시절 국보위와 어떤 차이가 있는지 모르겠다”고 말했다.

한 교수는 SNS를 통한 소통에 정부가 규제를 검토하고 있는 이 시점이 “중요한 분기점”이라고 말했다. “SNS도 분명 위험성은 존재하지만 의사표현의 영역에서 관이 주도해 일방적으로 소통회로를 규제하는 것은 사회발전에 역류하는 것입니다. 그 특성상 여러 사람이 모여서 검증하는 과정이 존재하므로 이 순기능이 잘 작동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역할에 그쳐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