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썸네일형 리스트형 난민신청 4년 지나 ‘불허’ 통지… 알고 보니 엉터리 통역 때문 임아영 기자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106152150015&code=940100 ㆍ20일 세계 난민의 날… 아직도 열악한 실태 지난 3월 버마 출신 바하(37·가명)는 법정에서 환호했다. 2005년 10월 난민지위신청을 한 뒤 5년여 만에 대법원에서 난민으로 최종 인정받았기 때문이다. 그는 2002년부터 버마에서 무장투쟁을 벌이고 있는 반군 조직에 후원금을 줬다는 이유로 살해 위협을 받았다. 천신만고 끝에 인천공항에 도착한 때가 2005년 5월. 당시에는 난민지위를 인정받는 게 그리 어렵지 않을 것이라고 생각했다. 하지만 법무부는 4년이 지난 2009년 4월 난민지위인정 불허 통지서를 보내왔다. 바하는 이의신청을 냈지만 결.. 더보기 “서두르지 말라는 대통령, 민심과 동떨어져” 임아영 기자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106142200495&code=940401 ㆍ등록금넷 비판 … 박재완·이주호 발언에도 조목조목 반박 전국등록금네트워크(등록금넷)가 이명박 대통령과 박재완 기획재정부 장관, 이주호 교육과학기술부 장관의 ‘반값 등록금’ 관련 발언들을 조목조목 반박했다. 등록금넷은 14일 보도자료를 내고, 전날 이명박 대통령이 등록금 문제에 대해 “서두르지 말라”고 한 발언과 관련해 “대통령은 선거운동본부에 ‘등록금 절반 위원회’를 설치·운영했으면서도 ‘공약을 한 적이 없다’고 발뺌했다. 등록금 문제 해법에 도움을 주기 어렵다면 방해라도 하지 말라”고 밝혔다. 박재완 장관이 “정부 재정지원을 통한 반값 등록.. 더보기 한대련 “등록금 집회 계속” … 시험 겹쳐 동력 약화 고민 임아영 기자 layknt@kyunghyang.com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106122153215&code=940401 ㆍ시민사회 연대도 주중 고비 ‘6·10 국민 촛불대회’로 정점에 이른 반값 등록금 촛불집회는 이제 어떻게 될까. 지난달 29일 이후 보름 동안 촛불집회를 주도해온 21세기한국대학생연합(한대련)은 12일 “촛불의 동력을 계속 이어가겠다”고 밝혔다. 한대련과 전국등록금네트워크(등록금넷)는 이달 말까지 촛불집회를 계속 열기로 했다. 이승훈 한대련 교육실장은 “지난 10일 촛불집회를 통해 학생과 시민의 뜨거운 반응을 확인한 만큼 매일 오후 7시 청계광장에서 촛불집회를 진행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11일에 이어 1.. 더보기 [6·10촛불 현장]“조건없는 반값등록금” 광장 불밝힌 2만명 임아영·김형규·정희완·주영재 기자 layknt@kyunghyang.com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106101902441&code=940100 [5신]10일 오후 10시50분 청계광장서 열린 촛불문화제가 오후 10시40분쯤 막을 내렸다. 박지은 한대련 의장은 “이제 이명박 대통령한테 물을 수밖에 없다”며 “6월 임시국회 내내 촛불을 들겠다. 다음주 금요일에도 대규모 집회를 할 예정이니 모두 나와 달라”고 말했다. 이날 문화제 행사에는 주최측 추산 연인원 2만여명(경찰추산 3000여명)이 참석한 것으로 전해졌다. 문화제를 마친 학생과 시민들은 을지로를 거쳐 명동쪽으로 행진을 시작했다. 촛불집회 참가자들이 경찰과 충돌하고 있다... 더보기 ‘등록금 촛불’ 최대 인파… 학생·시민 “반값” 한목청 임아영·정희완·주영재·김형규 기자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106102151265&code=940401 ㆍ청계광장 곳곳 공연·자유발언… 1만여명 밤늦게 거리행진 ㆍ“먹고 힘내라” 떡·음료 등 밀물… 부산·대구서도 집회 열려 “등록금은 생존의 문제다.” 6·10 민주항쟁 24주년을 맞아 10일 ‘6·10 국민 촛불대회’가 열린 서울 청계광장에선 반값 등록금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울려퍼졌다. 집회에는 지난달 29일 촛불집회가 시작된 이래 최대 규모인 2만여명(경찰 추산 5000여명)이 참여했다. 이날 대회에선 민주당 손학규, 민주노동당 이정희, 진보신당 조승수 대표와 민주노총 김영훈 위원장, 민주화를 위한 전국교수협의회(민교협) .. 더보기 “도저히 감당 못할 등록금… 이게 남의 일인가” 임아영·김형규·주영재 기자 layknt@kyunghyang.com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106092144345&code=940100 ㆍ나는 이래서 촛불 집회에 나왔다 “왜 촛불을 들었습니까?” ‘조건 없는 반값 등록금 실현’을 요구하며 시작된 서울 광화문의 촛불집회가 10일로 13일째를 맞는다. 지난달 29일 시작된 촛불집회는 처음에는 대학생들만의 모임이었으나, 날이 갈수록 외연이 넓어지고 열기도 고조되고 있다. 대학생은 물론 직장인, 386세대 학부모, 자영업자, 60대 중소기업 대표까지 집회 현장에 나와 구호를 외치고 있다. 경향신문은 그동안 광화문과 각 대학의 집회 현장에서 물었다. “왜 집회에 나왔습니까?” 직업도.. 더보기 반값 등록금 요구 동맹휴업… 10일 촛불집회… 경찰 “불법 시위” 임아영·정혁수 기자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106100006505&code=940100 ㆍ대학생·학부모 참여… 야당·시민사회 “제2의 6·10” ‘6·10 민주항쟁’ 24주년을 맞아 10일 시민들이 거리로 나온다. 대학생들은 등록금 인하를 요구하는 동맹휴업을 하고 촛불집회를 열기로 했다. 야당과 시민사회는 ‘제2의 6·10항쟁’을 통해 복지국가를 건설하겠다고 나섰다. 9일 21세기한국대학생연합(한대련)과 등록금넷, 민주당·민주노동당·진보신당·국민참여당 등은 서울 청계광장에서 ‘6·10 반값 등록금 국민촛불대회 선포 및 대회 보장을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열고 10일 예정된 촛불집회 개최를 보장하라고 정부에 요구했다. 참여 단.. 더보기 김준엽 전 고려대 총장 별세 임아영·황경상 기자 layknt@kyunghyang.com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106072154355&code=100402 김준엽 전 고려대 총장이 7일 노환으로 별세했다. 향년 91세. 1920년 평안북도 강계(현 자강도 강계)에서 태어난 고인은 일본 유학 중 학병으로 징집됐다. 중국 산둥성에서 목숨을 걸고 탈출한 고인은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있는 충칭까지 6000리길 장정에 올랐다. 도중에 중국 유격대에 가담해 항일 투쟁을 벌이며 죽을 고비를 넘기기도 했다. | 관련기사 12면 45년 1월 충칭에 도착한 뒤에는 고 장준하 선생 등과 함께 독립운동을 펼쳤다. 49년부터 고려대 교수로 중국 근대사를 가르친 그는 5공 시절.. 더보기 직장인·주부·시민단체… 촛불, 범국민 운동 조짐 임아영·김향미 기자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106080006375&code=940100 ㆍ“등록금 빚쟁이 이제 그만”… 도심 곳곳서 열흘째 집회 대학생들이 거리로 나섰다. 부모 세대도, 직장인도, 정당과 시민사회단체도 합류했다. 대학 등록금은 이제 학생들만의 문제가 아니라 시민 모두의 문제가 되었다. 나와 내 가족의 ‘삶의 질’과 직결된 이슈가 촛불을 계속 밝히고 있다. ‘조건 없는 반값 등록금 실현’을 요구하며 시작된 촛불집회가 열흘째를 맞은 7일 서울시내 대학가와 청계광장 주변 등 도심 곳곳에서 하루 종일 반값 등록금을 주장하는 목소리들이 터져나왔다. ‘반값 등록금 실현’을 위한 촛불집회 열흘째인 7일 서울 청계광장 인.. 더보기 민주화 앞장 386세대, 2011년 자녀 위해 거리로 임아영 기자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106082131145&code=940100 ㆍ40대 학부모 모임 발족 “반값 등록금 공감 투쟁 동참” ㆍ4개 대학 동맹휴업 투표 돌입… 내일 대규모 집회 예고 반값 등록금 투쟁의 외연이 점차 넓어지고 있다. 1980년대 대학에 다니며 학생운동에 열심이던 ‘386세대’가 이제 학부모가 되어 등록금 투쟁 전면에 나선다. 386세대 50여명은 9일 국회 앞에서 ‘등록금을 걱정하는 학부모 모임’을 발족할 예정이다. 이 모임을 주도하고 있는 정명수씨(45)는 8일 “학점 경쟁을 하는 요즘 대학생들에게는 사회참여에 대해 생각할 겨를조차 없었다”며 “등록금과 실업문제로 고통받는 대학생들과 함께해야 .. 더보기 반값 등록금 집회 ‘제2 촛불’ 번지나 임아영 기자 layknt@kyunghyang.com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106032026505&code=940100 ㆍ6일째 시위… 시민들도 가세 ‘반값 등록금 집회’가 ‘제2의 촛불시위’로 번질 것인가. 21세기한국대학생연합(한대련) 소속 학생과 직장인 등 700여명은 3일 저녁 서울 광화문 KT 본사 앞 인도에서 ‘조건 없는 반값 등록금 실현’을 요구하는 촛불집회를 엿새째 이어갔다. 이날은 “국공립대 사립화하는 법인화 중단하라” “촛불아 모여라, 이명박 정부 심판하자” “대학생 모여라, 반값 등록금 실현하자”는 등의 구호를 외쳤다. “조건 없는 반값 등록금 시행을” 3일 서울 광화문광장에서 대학생과 직장인 등 700.. 더보기 촛불 든 반값 등록금… 끄려는 정부 임아영·주영재·김형규 기자 layknt@kyunghyang.com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106022205055&code=940401 ㆍ이슈 들끓는 2011 대학가, 서글픈 초상 ㆍ연예인 등 ‘선배부대’ 지지 확산 반값 등록금, 서울대 법인화, 사학비리 등 굵직한 이슈로 대학가가 들끓고 있다. 경찰의 촛불집회 엄중 대응 방침에도 불구하고 대학생들은 반값 등록금을 위한 촛불집회를 이어가고 있다. 서울대에선 법인화 반대를 주장하며 학생들이 대학 본관을 점거한 채 농성 중이다. 한국외국어대와 명지대에선 사학비리로 비상학생총회가 열리는 등 대학가에선 변화와 개혁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터져나오고 있다. 21세기한국대학생연합(한대련) .. 더보기 ‘반값 등록금 시위’ 대학생 72명 석방… 1명은 ‘교통법 위반’ 내세워 재입감 임아영 기자 layknt@kyunghyang.com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105312119095&code=940401 ㆍ“약속 지킬 때까지” 다시 촛불 ‘반값 등록금 공약 이행’을 요구하며 지난 29일 시위를 벌이다 경찰에 연행된 21세기한국대학생연합(한대련) 소속 학생 72명이 풀려났다. 그러나 대학생 김모씨(21)는 다른 혐의로 유치장에 재입감돼 인권침해 논란이 예상된다. 서울 중부경찰서는 31일 “김씨가 묵비권을 행사 중이며 검찰에서 재조사 지휘가 내려와서 내일 조사 결과를 지켜봐야 한다”면서 “이번 한대련 대회와 별개 사건으로 입감한 것”이라고 밝혔다. 김씨는 지난해 6월 민중대회 집회 때 도로교통법 위반 혐의로 .. 더보기 이전 1 ··· 10 11 12 13 다음